어떤 언어를 유창하게 사용할 만큼 배우고 익히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30대 중반 이후로는 더더욱 그렇다. 그러나 필자는 학창 시절 독일어를 공부한 적이 있었고, 적어도 독일어로 적혀있는 것을 읽을 수는 있었다. 그 덕분에 독일어 공부를 30대 중반에도 큰 거부감 없이 시작할 수 있었다.
2020년도 9월 중순에 X원X쿨 인터넷 강의 패키지를 결제하여 독학을 시작했다. 패키지에는 왕초보 부터 B1 수준까지 약 20분 분량의 강의가 660개 정도 들어있었다. 매일 일을 마치고 대략 4-6개의 강의를 들었고, 4개월 정도만에 모든 강의를 다 들을 수 있었다
진도가 제법 빨리 나가서, 이듬해 3월 Goethe-Zertifikat B1 시험을 예약하였다. 독학으로 공부하여 쓰기와 말하기 부분의 피드백이 필요해서, 2021년 1월 정도부터 대략 2개월 가량 과외선생님을 구해서 쓰기와 말하기 부분을 집중 연습하였다. 그리고 2021년 3월 말에, 한 번에 B1 시험을 합격할 수 있었다.
보통 B1 이상의 수준은 독일에서 어학원을 다니며 준비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그 당시 국제적으로는 COVID-19가 한창 문제였고, 개인적으로는 첫 아이가 태어났기 때문에 나는 국내에서 독일어 공부를 지속하였다. 나는 한국에서 하던 직업을 독일에서 그대로 이어서 하고 싶었고, 그러기 위해서는 독일어 B2 이상의 자격증이 필요했다.
B1 합격소식을 받자 마자 B2 시험 준비를 시작하였고, 여기서부터는 독일에서 독일어교육학을 전공하신 분께 개인 과외를 일 주일에 1번 씩 받았다.
2021년 7월에 Goethe-Zertifikat B2 읽기, 듣기 모듈 합격
2021년 10월에 B2 쓰기 모듈 합격, 말하기 모듈 불합격
이 때쯤, 2022년 봄에 독일로 떠나기로 확정하고 비행기표를 사둔 상황이었고, 2022년 3월에 말하기 시험을 합격해야만 했다. 한국에 사는 원어민 회화 선생님과 함께, 말하기 시험을 총력을 다해 준비하였다.
2022년 3월 B2 말하기 모듈 합격
2022년 4월 초 Goethe-Zertifikat B2 자격증 수령
2022년 4월 중순 독일로 출국
아주 쫄깃한 일정이었다.
*독일어 공부 팁
1. 어휘력이 생명이다. 단어는 아무리 많이 외워도 모자라지 않다. Goethe-Institut 의 경우 A1,A2,B1까지는 현재 수준에서 알아야 할 단어 목록을 pdf로 공개하고 있다(Goethe B1 Wörterlist 등으로 검색해보면 손쉽게 괴테 공식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정도는 모조리 외워야 한다. 그러면 B1 읽기 시험을 97점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그 정도면 B2 합격 커트라인도 무난하게 넘을 수 있다.
2. 인터넷 강의를 들을 때 개인적으로는 교재를 일절 보지 않고 백지에 강의를 모조리 필기하는 방식을 좋아한다. 강의를 듣는 집중도가 훨씬 높고, 별도로 복습에 시간을 많이 들이지 않아도 기억에 잘 남는다. 본 수업에 집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3. 필자가 독일어를 공부하던 당시에는 ChatGPT 등의 인공지능 서비스가 없어서 내가 쓴 문장이나 글을 첨삭받으려면 선생님을 구해야 했었다. 하지만 요즘 시대에 독일어 공부를 시작하는 당신께서는 AI를 활용하면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 사전에서 알려주지 않는 용법이나 뉘앙스의 차이를 질문하기도 좋고, 문법 교정도 척척 해줄 것이며, 특정한 글을 A1 수준 또는 B1 수준으로 변환도 해줄 수 있다. 보이스 모듈을 결합하고 마이크를 이용하면 회화 연습 또한 가능하다. 외국어 공부에 AI 사용을 주저하지 말자.
4. 독일어 능력시험의 쓰기 및 말하기 모듈은 사실 예상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달달 외우는 것이 가장 좋다. 필자의 경우 말하기 시험 준비를 할 때 예상문제 몇 가지에 대한 대본을 다 써두고, 모조리 다 외워서 프레젠테이션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최소한 어떤 주제가 나오면 어떤 내용을 어떤 순서로 말할 지는 다 외워야 한다!!) 연습한 후, 선생님과는 나의 프레젠테이션에 대한 질의응답 위주로 연습을 했다. 물론 이렇게 준비한다고 독일어 회화를 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한국에서 독일어 공부를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격시험에 합격하는 것이 더 중요할 것이다. 학원이던 과외건, 양질의 예상문제를 가지고 있는 전문가 분을 잘 찾으시길 바란다
'독일이민담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EP5. 8개월 아이와 함께 떠나는 새로운 나라 (0) | 2023.05.06 |
---|---|
EP4. 짐이 산더미 (0) | 2023.05.05 |
EP3. 한국에서 독일 집 계약한 후기 (0) | 2023.05.03 |
EP1. 딸아이를 생각하며 준비한 이민 (0) | 2023.05.01 |
블로그를 열며 (0) | 2023.04.30 |